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교황 마르첼루스의 미사(Pope Marcellus Mass)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교황 마르첼루스의 미사 (Pope Marcellus Mass) 1567년 출판 팔레스트리나 (1525-1594) 카톨릭의 미사는 크게 보면 4개의 예식 1) 으로 나뉘어 행하여 진다. 각 예식은 사제와 교우들이 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어 지는데, 이때 상호간에 응답하는 내용은 카톨릭 교리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도문을 주고 받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예배 중에 정해진 기도문을 위하여 작곡된 음악을 미사곡이라고 한다. 기독교의 종교예식에 있어서 음악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이는 카톨릭이나 개신교 모두 공통적인 부분이다. 카톨릭에 있어서는 미사의 예식 순서 및 기도문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도문(미사 통상문)을 위한 음악의 작곡은 매우 중요하였다. 전통적인 미사곡의 형식은 일정한 가사로 된 다음과 같은 5개 내지 6개의 부분(악장)으로 구성 된다. 1. 키리에 (Kyrie, election...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2. 글로리아 ( Gloria in excelsis Deo... 하늘 높은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3. 크레도 (Credo in unum Deum. 한분이신 하나님을...) 4. 상투스 (Sanctus..거룩하시도다)+베네딕투스(Benedictus..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5. 야누스 데이 (Agnus Dei.. 하나님의 어린 양..) 상기의 내용은 미사 통상문(1년을 통해 변하지 않는 부분)이라고 하며, 모든 가사는 라틴어로 불리어 진다. 미사곡은 미사예식에 따라 정해진 순서에 불려지는 것이나, 보통 이런 미사곡을 모아놓은 앨범들에서는 위의 5부분을 연속적으로 녹음해서 들려 주기 때문에 미사의 구성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으면, 한번에 이 곡들을 모두 듣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팔...